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보건의료정보원

Korea Health Information Service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 지속 확산을 통하여 환자 안전에 기여
  • 작성자KHIS
  • 작성일시2025.02.28 15:05
  • 조회수265

 

가벼운 감기 증상에 무심코 약을 먹은 후 눈이 붓거나 목이 간지러웠던 경험이 있는가? 약물알레르기(Durg Allergy)란 약물이나 그 대사물질에 의해 나타나는 약물 부작용 중 면역반응에 의해 나타나는 부작용을 말한다.

 

약물알레르기는 흔히 피부 발진, 기침, 소화 불편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할 경우 표피가 박탈되거나 쇼크가 오는 등 신체적 반응이 나타날 수 있다.

 

약물알레르기 반응에 의한 약물유해반응(ADR, Adverse Drug Reaction) 보고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0812,796건에서 2017252,611건으로 9배 이상 증가했다.

* 강혜련 외. 의약품부작용보고원시자료 기반 약물 아나필락시스 사례 분석. 2020.8.

 

한국보건의료정보원은 국민의 약물알레르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약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2019년부터 운영해 오고 있다.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는 환자의 진료기록을 기반으로 약물 처방 시 알레르기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점검하여 알려주는 시스템이다.

 

의료기관의 전자의무기록(EMR)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환자의 약물알레르기를 점검할 수 있고, 국제표준기구(ISO)의약품 식별 표준용어체계(IDMP)*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 IDMP : 의약품 식별 표준용어체계로 의약품 속성(성분·함량·단위·제형) 고유하게 식별하기 위한 5개의 ISO구조 표준으로 구성

 

전자의무기록(EMR)시스템과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자동 점검할 수 있어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이 높아질 수 있고, 약물알레르기로 인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를 활용하는 기관은 `2167개소 대비 `24117개소로 증가했고, 서비스를 통해 점검이 가능한 IDMP 목록세트의 수도 `제품명 수'의 경우 `214,023개 대비 `248,259, `성분명 수' 경우 `21216개 대비 `24624개로 큰 폭 증가했다.

 

<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 활용 통계>

구 분

2021

2022

2023

2024

활용기관수(누적)

67

67

95

117

IDMP

목록세트(누적)

제품명 수

4,023

6,828

8,111

8,259

성분명 수

216

301

601

624

 

또한,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를 통해 점검이 가능한 약물계열* 매년 업데이트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고도화를 통해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21) 항생제, (`22) 해열진통소염제, (`23) 조영제, 백신

 

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는 의료기관이 한국보건의료정보원에 이용신청서를 제출하고, API 테스트 확인 후 전자의무기록(EMR)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다.

 

서비스 사용에 필요한 가이드와 교육 자료는 한국보건의료정보원 EMR인증포탈(https://emrcert.mohw.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국보건의료정보원 염민섭 원장약물알레르기 점검서비스(K-CDS) 단순히 의료정보가 흐르는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민이 직접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국민 안전을 위한 예방에 기여할 것이라며,“앞으로도 보건의료정보를 선도하는 기관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

등록
0 / 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