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병원 정보화 사업이란? 보건복지부
소속 7개 국립병원*과 질병관리청 소속 2개 국립병원**의 의료정보시스템 구축 및 유지관리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병원, 국립공주병원, 국립부곡병원, 국립춘천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
사업소개
국립병원에 대한 이해
- (정신병원군)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병원, 국립부곡병원, 국립춘천병원, 국립공주병원
- (한센병원군) 국립소록도병원
- (재활병원군) 국립재활원
- (결핵병원군) 국립마산병원, 국립목포병원
* (보건복지부 소속 7개 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부곡·춘천·공주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 (질병관리청 소속 2개 병원) 국립마산·목포병원
국립병원군별 미션 및 비전
배경 및 필요성
- 보건복지부 및 질병청 소속 9개 국립병원*은 민간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특수
진료분야(결핵, 한센, 재활, 정신) 전문병원으로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전문진료에
부족함이 없는 최적의 병원정보시스템 구축과 운영이 필수적임
* (보건복지부 소속 7개 병원) 국립정신건강센터, 국립나주·부곡·춘천·공주병원, 국립소록도병원, 국립재활원
* (질병관리청 소속 2개 병원) 국립마산·목포병원
목적
- 국립병원 병원정보시스템의 효율적 통합관리 및 선진 의료체계 구현을 통해 병원 업무 효율화와 고객서비스를 강화하고, 보건의료데이터 활용기반 마련 및 정보시스템 안정성 확보
사업내용
- 차세대 통합시스템 구축을 통한 9개 국립병원 선진 의료체계 구현
- 병원 업무 효율화, 고객서비스 강화 및 보건의료 데이터 활용기반 마련
- 특성화된 병원별 맞춤형 기능 및 스마트 진료환경(모바일
EMR, CLMA*) 구축 및 운영
* CLMA(Closed Loop Medication Administration) : 환자의 투약 오류를 낮추기 위해 고안된 통합적 프로세스로 환자인식 및 안전관리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클라우드 인프라 안정적 구축 및 운영, 정보보호체계 수립
추진근거
- 보건의료기본법 제54조(보건의료정보화의 촉진)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보건의료에 관한 통계와 정보를 수집·관리하여 이를 보건의료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국립병원 정보시스템(MEDIRO) 구축추진경과(’19.07.∼)
- (BPR/ISP) 차세대 국립병원 구축을 위한 업무 재설계 및 정보화 전략 계획(BPR/ISP) 수립(’19.7~’19.12)
- (표준화 추진) 국립병원 정보시스템 의료 용어 및 서식 표준화 연구 (’21.05~.11)
- (차세대 구축, 1차년도) 사용자 요구사항 수집․분석․설계 추진(’21.09~’22.03)
- (차세대 구축, 2차년도) 기능 상세설계 및 정보시스템 개발(’22.04~’22.12)
- (차세대 구축, 3차년도) 클라우드 구축 및 국립병원별 단계적 가동(’23.01~’24.04)
- (운영 단계) 안전하고 안정적인 국립병원 EMR시스템 운영(’24.05~)
- (이관사업 추진) 안전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구센터) 이관(~’25.04)
국립병원 정보시스템(MEDIRO) 시스템 구성도
-
장비/시스템 연계 채널
의료장비/솔루션
- 검사장비
- PACS
- 전광판
- 키오스크
내/외부 시스템
- 건강검진
- 환자포털
- 그룹웨어
- 인사급여
-
차세대 국립병원정보시스템
스마트
- 모바일EMR
- CLMA
- 모바일 동의서
운영관리
ITSM
국립정신병원
- 스트레스 클리닉
- 정신재활
- 정신응급
- 행동발달
국립결핵병원
- 결핵관리
- 임상연구
- 통증클리닉
- 감염관리
국립재활병원
- 한방
- 사회복귀
- 재활코디
- 전문병동
국립한센병원
- 한센인관리
- 한센인 진료간호
- 한센인 진료지원
- 행정지원
국립병원 공통 EMR / 국립병원공통 기능
- 진료
- 간호
- 영상검사
- 진단검사
- 표준마스터
- 서식/용어
- 약제
- 의무기록
- 급식영양
- 환자관리
- 통합권한
- 인증/암호
- 원무
- 심사
- 청구
- 재고관리
- 통합감사
- 환경설정
통합 DB/DM/DW
9개 병원 통합
다차원분석
- 통계시각화
- 연구검색
- A.I분석
연계플랫폼
- HL7 V2.X
- HTTP RESTful
- C-CDA
- FHIR
국가정보자원관리원(대구)
- IaaS
- PaaS
- 규제준수
- 보안강화
-
내/외부 기관 연계
공공기관
- 국민건강 보험공단
-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 질병관리청
- 마약류 통합관리
- 중앙응급 의료센터
- 약학 정보원
외부병원/기관
- 정보교류병원
- 수탁검사
- 카드 VAN
- 단문자/카톡
민간기업
장비/시스템 연계 채널 ↔ 차세대 국립병원정보시스템의 연계플랫폼 ↔ 내/외부 기관 연계
- 멀티테넌시
- 9개 병원, 4개 병원유형+@
- 통합과 확장이 내장된 EMR
- 검증된 클라우드 EMR
- 네이버, AWS에서 운영 검증
- 다수 병원구축을 통해 검증된 공통 EMR
- Configuration 풍부한 EMR
- MSA(마이크로서비스)
- 마이크로서비스 활용
- 병원공통/특화 기능
- 그룹병원, 개별병원 특화 개발
- 공통기능↔특화기능 분리/격리
- EDW, CDW, 연구검색
- 병원 겨영지표(예. 외래환자수)
- 임상지표, 임상질지표
- 연구검색, 다차원
- 빅데이터, AI 기반 플랫폼
- 표준 인터페이스 엔진
- DICOM, HL7 표준 기반 인터페이스-PACS, 의료장비
- FHIR 기반 헬스케어 서비스
- 내/외부 솔루션 연동 HTTP RESTful 오픈 API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