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란? 근거 기반의 의료정보정책 수립을 위하여 국내 의료기관 종별․특성별 정보 인프라, 인력 현황, 장애 요인, 인식 수준 및 기술 현황 등 의 조사를 통하여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
목적
주요 내용
조사특성
- 의료정보정책의 수립·평가에 필요한 보건의료 데이터의 수집·공유·활용 체계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사항 포함
- 선행 실태조사(15년, 17년) 결과 및 의료정보화 국제지표와 비교 가능 하도록 설계
- 정보화 인식도, 현장 요구도, 기술적용 현황 등의 항목 구성
조사설계
모집단 |
- 2020년 4월말 기준 요양기관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
---|---|
표본크기 |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 전수 조사 - 병원 : 표본조사 |
표본추출 |
- 다단계 층화 계통추출(Multi-Stage Systemic Sampling) |
조사방법 |
- Multi-Method > 태블릿PC를 활용한 방문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응답자가 원할 경우 CAWI/FAX/우편조사 방법 등 병행 |
자료수집 도구 | - 구조화된 조사표(Structures Questionnaire) |
모수추정 |
- 층화, 집락효과를 반영한 가중치 적용 - 복합표본설계에 적합한 모수추정식 적용 |
설문구성
A.정보화기반(데이터 생성) | B.정보화 현황(데이터 관리) | C.진료 활용체계(데이터 일차 활용) | D.연구 활용체계(데이터 이차 활용) |
---|---|---|---|
A1. 정보 시스템 A2. 정보화 거버넌스 A3. 정보화 표준 A4. 교육 및 인력 양성 |
B1. EMR 현황 B2. EMR 인증 B3. 개인정보보호 B4. 정보 보안 |
C1. EMR 고도화 C2. 진료정보교류 C3. PHR C4. 스마트병원 |
D1. 데이터 활용 및 공유체계 D2. 데이터 분석 환경 D3. 데이터 활용지원 기반 |
국가 정보화 현황 보고서
- 의료기관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 의료정보 정책분야별 시사점 및 정책적 함의
- 국가간 보건의료정보화 진단 분석결과
- 국가보건의료정보화 현황조사의 연속성 및 실효성 확보방안
기대 효과
보건의료 정보정책의 방향도출 및 구체적 정책 수립의 근거 데이터 마련
- 보건의료 정보화 실태조사 원천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DB화 및 오픈API 구축, 개방
- 4차 산업혁명 중심 의료정보 정책과제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국제 수준의 정보화 평가지표 제안
-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보화 수준을 해외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
- 선진국과의 차이(GAP)분석과 핵심 보건의료 정보기술 적용을 위한 주요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기존 정책과제 관련, 제도 정착 기반구축 및 정책 보완 개발 지표로 활용
-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진료정보교류, 국가 표준용어체계 도입 등 사업간의 연계성 및 성과를 정량적으로 제시
- 체계적인 요구사항 관리 및 조사결과의 심층분석을 통해 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추진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이를 통해 국가 보건의료 종합계획 의 기초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