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한국보건의료정보원

Korea Health Information Service

보건의료정보화 실태조사란? 근거 기반의 의료정보정책 수립을 위하여 국내 의료기관 종별․특성별 정보 인프라, 인력 현황, 장애 요인, 인식 수준 및 기술 현황 등 의 조사를 통하여 정책방향 및 목표 설정을 위한 기준점을 마련하기 위한 사업

목적

의료정보정책 영역별 유의미한 조사항목 설계, 실태조사 및 분석결과 도출을 통해 정책 근거로 활용

주요 내용

조사특성

  • 의료정보정책의 수립·평가에 필요한 보건의료 데이터의 수집·공유·활용 체계 전반에 대한 포괄적인 사항 포함
  • 선행 실태조사(15년, 17년) 결과 및 의료정보화 국제지표와 비교 가능 하도록 설계
  • 정보화 인식도, 현장 요구도, 기술적용 현황 등의 항목 구성

조사설계

모집단, 표본크기, 표본추출, 조사방법, 자료수집도구, 모수추정에 대한 테이블입니다.
모집단

- 2020년 4월말 기준 요양기관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표본크기

-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 전수 조사

- 병원 : 표본조사

표본추출

- 다단계 층화 계통추출(Multi-Stage Systemic Sampling)

조사방법

- Multi-Method

> 태블릿PC를 활용한 방문조사를 원칙으로 하되, 응답자가 원할 경우 CAWI/FAX/우편조사 방법 등 병행

자료수집 도구

- 구조화된 조사표(Structures Questionnaire)

모수추정

- 층화, 집락효과를 반영한 가중치 적용

- 복합표본설계에 적합한 모수추정식 적용

설문구성

설문구성을 담은표, A.정보화기반(데이터 생성), B.정보화 현황(데이터 관리), C.진료 활용체계(데이터 일차 활용), D.연구 활용체계(데이터 이차 활용) 으로 구성
A.정보화기반(데이터 생성) B.정보화 현황(데이터 관리) C.진료 활용체계(데이터 일차 활용) D.연구 활용체계(데이터 이차 활용)

A1. 정보 시스템

A2. 정보화 거버넌스

A3. 정보화 표준

A4. 교육 및 인력 양성

B1. EMR 현황

B2. EMR 인증

B3. 개인정보보호

B4. 정보 보안

C1. EMR 고도화

C2. 진료정보교류

C3. PHR

C4. 스마트병원

D1. 데이터 활용 및 공유체계

D2. 데이터 분석 환경

D3. 데이터 활용지원 기반

국가 정보화 현황 보고서

  • 의료기관의 보건의료정보화 현황
  • 의료정보 정책분야별 시사점 및 정책적 함의
  • 국가간 보건의료정보화 진단 분석결과
  • 국가보건의료정보화 현황조사의 연속성 및 실효성 확보방안

기대 효과

보건의료 정보정책의 방향도출 및 구체적 정책 수립의 근거 데이터 마련

  • 보건의료 정보화 실태조사 원천데이터의 체계적 관리를 통한 DB화 및 오픈API 구축, 개방
  • 4차 산업혁명 중심 의료정보 정책과제 추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국제 수준의 정보화 평가지표 제안

  • 우리나라 보건의료 정보화 수준을 해외와 비교하여 분석할 수 있는 기초자료 확보
  • 선진국과의 차이(GAP)분석과 핵심 보건의료 정보기술 적용을 위한 주요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기존 정책과제 관련, 제도 정착 기반구축 및 정책 보완 개발 지표로 활용

  • 전자의무기록 인증제, 진료정보교류, 국가 표준용어체계 도입 등 사업간의 연계성 및 성과를 정량적으로 제시
  • 체계적인 요구사항 관리 및 조사결과의 심층분석을 통해 보건의료 정보화 사업추진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으며 더불어 이를 통해 국가 보건의료 종합계획 의 기초자료로 활용

결과 보고서